가족 돌봄 청년(영케어러)의 청춘을 응원하는

치료비, 간병비, 생활비로 내일에 대한 희망을 잃어버린 가족 돌봄 청년을 돕는 이른 돌봄 모금 캠페인


탑스타가 컵을 쌓은 갯수만큼 기부되는 러브온탑과 함께 하며, 모금액은 전액 '가족 돌봄 청년'에게 전달합니다.

너무 이른 간병으로 가장이 된 청년들에게

학업과 미래를 준비할 시간을 지원해주세요.

누구보다 이른 시기에
아픈 가족을 돌보게 된 청소년·청년들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들을
가족 돌봄 청년*이라고 부릅니다.

존재만으로도 찬란하게 빛나야 할 청년들이 
아픈 가족을 돌보고, 가장으로서의 삶을 살며
청춘(靑春)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아버지가 뇌졸중으로 쓰러지셨습니다.
혼자서는 먹는 것도, 입는 것도,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아버지.


그렇게 저는 아버지의 보호자가 되었고,
가장으로서의 삶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월 400만 원 가까이 드는 간병 비용을 마련할 수 없어
제가 직접 아침부터 저녁까지 아버지를 보살피고 있습니다.

너무 미안해하시는 아버지의 모습에
더 잘해드리지 못해 죄송한 마음 뿐입니다. 



생활비를 벌기 위해 

편의점 야간 아르바이트를 시작했습니다.

자는 시간도, 친구들을 만날 시간도, 

미래를 준비할 시간도 저에겐 허락되지 않습니다. 



보호자와 가장으로서 아프신 아버지를 돌보고,
생계를 책임져야 하기엔 저도 아직 어리기만 합니다.

너무 사랑하는 아버지지만,
아버지 앞에선 괜찮다고 웃어보지만,
저도 점점 지쳐갑니다. 

*가족돌봄 청소년 및 청년 실태 조사 - 경기도, 경기복지재단 한국갤럽 

(경기도 거주 13~34세 사이 가족돌봄 청소년·청년 1,213명 대상/ 2024.2~11)

mobile background

누구보다 이른 시기에

아픈 가족을 돌보게 된 청소년, 청년들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들을

가족 돌봄 청년*이라고 부릅니다.


존재만으로도 찬란하게 빛나야 할 청년들이 

아픈 가족을 돌보고, 가장으로서의 삶을 살며

청춘(靑春)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하단 3개 내용 조금 더 요약 및 그림추가 +정리 -  수정 예정)

11~19세 가족 돌봄 청소년
약 18만~29만 명 추정**
우리나라는 아직 가족 돌봄 청년에 대한 실태조사 조차 이루어지지 않아 해외 국가의 조사 결과를 참고해 11~19세 청소년 중 약 18만~29만 명을 가족 돌봄 청년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20대와 30대 초반의 청년 연령까지 포함한다면 지원이 필요한 가족 돌봄 청년은 더욱 많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령화로 인해 돌봄과 부양의 부담이 가중되고, 저출생 현상으로 돌봄과 부양을 함께 나눠질 수 있는 형제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또 이혼율의 증가로 부모가 아플 때 보호자는 아이밖에 없는 상황이 늘어나고 있어 가족 돌봄 청년은 앞으로 더 증가할 것입니다.

11~19세 가족 돌봄 청소년
약 18만~29만 명 추정**

우리나라는 아직 가족 돌봄 청년에 대한 실태조사 조차 이루어지지 않아 해외 국가의 조사 결과를 참고해 11~19세 청소년 중 약 18만~29만 명을 가족 돌봄 청년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20대와 30대 초반의 청년 연령까지 포함한다면 지원이 필요한 가족 돌봄 청년은 더욱 많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령화로 인해 돌봄과 부양의 부담이 가중되고, 저출생 현상으로 돌봄과 부양을 함께 나눠질 수 있는 형제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또 이혼율의 증가로 부모가 아플 때 보호자는 아이밖에 없는 상황이 늘어나고 있어 가족 돌봄 청년은 앞으로 더 증가할 것입니다.

하루 간병비
평균 13만 원***

외상환자, 치매, 정신질환 등 24시간 간병이 필요한 경우 하루 간병비는 평균 13만 원이며, 1달 동안 간병인을 고용할 경우 약 390만 원을 부담해야 합니다.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간병비 부담은 고스란히 가족 돌봄 청년의 몫입니다. 본인의 월급보다 더 큰 금액을 간병비로 지출할 수는 없기에 대부분 직접 가족을 돌보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치료비, 간병비에 미래를 저당 잡힌
가족 돌봄 청년

보건복지부가 ‘가족 돌봄 청년 지원대책 수립방안’을 발표하고 현황조사를 시작했지만, 아직 체계적인 공적 지원이 마련되기 까지는 시간이 좀 걸릴 것 같습니다.

사회의 무관심 속에 간병의 부담을 온전히 지고 있는 가족 돌봄 청년들은 가족을 돌보고 틈나는 시간에 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하는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일하는 중에도 무슨 일이 생길지 몰라 불안하고, 열심히 일해도 최저임금 수준의 비정규직 임금으로는 생활비는 커녕 치료비도 부족합니다. 학업을 이어 나가거나 진로를 탐색하고 정규직 취업은 꿈도 못 꿀 일이 되었고, 누구보다 이르게 시작한 돌봄의 부담이 무겁기만 합니다.

*보건복지부 ‘가족 돌봄 청년(영케어러) 지원대책 수립 방안’ (2022)
**국회입법조사처 ‘해외 영케어러 지원 제도와 시사점’(2022)
***경향신문 <13만원 넘는 하루 간병비…청년 돌봄자들엔 ‘가장 큰 부담'

하루 간병비
평균 13만 원***
외상환자, 치매, 정신질환 등 24시간 간병이 필요한 경우 하루 간병비는 평균 13만 원이며, 
1달 동안 간병인을 고용할 경우 약 390만 원을 부담해야 합니다.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간병비 부담은 고스란히 가족 돌봄 청년의 몫입니다.
본인의 월급보다 더 큰 금액을 간병비로 지출할 수는 없기에 대부분 직접 가족을 돌보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치료비, 간병비에 미래를 저당 잡힌
가족 돌봄 청년
보건복지부가 ‘가족 돌봄 청년 지원대책 수립방안’을 발표하고 현황조사를 시작했지만, 
아직 체계적인 공적 지원이 마련되기 까지는 시간이 좀 걸릴 것 같습니다.
사회의 무관심 속에 간병의 부담을 온전히 지고 있는 가족 돌봄 청년들은 가족을 돌보고 

틈나는 시간에 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하는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일하는 중에도 무슨 일이 생길지 몰라 불안하고, 열심히 일해도 최저임금 수준의 비정규직 임금으로는 생활비는 커녕 치료비도 부족합니다. 학업을 이어 나가거나 진로를 탐색하고 정규직 취업은 꿈도 못 꿀 일이 되었고, 누구보다 이르게 시작한 돌봄의 부담이 무겁기만 합니다.

*보건복지부 ‘가족 돌봄 청년(영케어러) 지원대책 수립 방안’ (2022)
**국회입법조사처 ‘해외 영케어러 지원 제도와 시사점’(2022)
***경향신문 <13만원 넘는 하루 간병비…청년 돌봄자들엔 ‘가장 큰 부담'>(2021.11.25)

mobile background

🎥유튜브 '러브온탑'도 함께 합니다.

가족 돌봄 청년 기부금은

이렇게 사용됩니다.

mobile background

24시간 쉴 틈 없던 간병시간을

1시간이라도 줄여준다면, 

치료비와 생계비를 벌기 위해 

일하는 시간을 조금이라도 줄여준다면


가족 돌봄 청년에게 희망이 생기고, 

미래를 준비할 시간이 늘어납니다. 


따뜻한 마음으로

청년들의 내일을 응원해 주세요!


* 기부금은 전액 가족 돌봄 청년(청소년 포함)에게 전달되며, 

모금 결과 및 사용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투명하게 공개됩니다.

무통장입금 가족 돌봄 청년 모금 캠페인 전용 계좌

우리은행 1005-189-337337 (재)바보의나눔

24시간 쉴 틈 없던 간병시간을 1시간이라도 줄여준다면,
치료비와 생계비를 벌기 위해 일하는 시간을
조금이라도 줄여준다면
가족 돌봄 청년에게 희망이 생기고,
미래를 준비할 시간이 늘어납니다.

따뜻한 마음으로 청년들의 내일을 응원해 주세요!

기부금은 전액 가족 돌봄 청년(청소년 포함)에게 전달되며,
추후 모금 결과 및 사용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투명하게 공개됩니다.

무통장입금 안내

가족 돌봄 청년 모금 캠페인 전용 계좌
우리은행 1005-189-337337 / 예금주 : (재)바보의나눔

mobile background

가족 돌봄 청년 기부금은 이렇게 사용됩니다.

2022~2023년 이른돌봄(1) 모금 지원결과 (디자인 예정)

전국 각지에서 도움을 필요로 하는 가족돌봄청년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전국 459개 사회복지관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한국사회복지관협회에 지원금을 전달하였습니다. 한국사회복지관협회는 경제적, 정서적 지원 욕구를 가진 가족돌봄 청소년, 청년을 사회복지관과 통합사례회의, 학교 네트워크 등의 추천을 통해 선정하고 일상생활 유지를 위한 지원금 최대 150만원, 간병비 등 돌봄비 최대 100만원, 교육비 최대 100만원을 지원하며 1가정당 최대 250만원까지 지원할 계획입니다.


너무나 일찍 철이 들 수 밖에 없는 아이들, 그리고 성인이 되어도 진로를 찾지 못하고 계속 아픈 가족의 보호자로 살아가야 하는 청년까지 누구보다 이른 돌봄으로 힘든 삶을 살아가는 청소년과 청년을 위해 그 어떤 모금보다도 따뜻한 마음을 많이 보내주신 기부자분들이 계시기에 80명에 가까운 가족돌봄청(소)년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집안에 고립되어 혼자의 힘으로 이겨내려 노력했던 가족돌봄청년에서 우리 모두가 힘을 모아 함께 하고 있음을 전해 주신 모든 기부자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후원 문의 | 모금홍보팀 02-727-2506~8

(평일 09:00~18:00 / 점심시간 11:30~12:30)

(재)바보의나눔

04537 서울시 중구 명동길 74, 5층(명동2가, 천주교서울대교구청)

대표 구요비  |  사업자번호 201-82-06995

Tel. 기부문의 : 02)727-2506~8 / 지원문의 : 02)727-2503~5 (여성가장 2504)

Fax. 02)727-2509  |  Email. babonanum@babo.or.kr


© Babonanum by 재단법인 바보의나눔. All Rights Reserved.